쑥대머리 구신형용(鬼神形容) 적막옥방(寂寞獄房)의 찬 자리에 생각난 것이 임뿐이라.
보고지고 보고지고, 한양낭군(漢陽郎君) 보고지고.
오리정(五里亭) 정별후(情別後)로 일장서(一張書)를 내가 못 봤으니
부모봉양(父母奉養) 글공부에 겨를이 없어서 이러는가.
연이신혼(宴爾新婚) 금슬우지(琴瑟友之) 나를 잊고 이러는가.
계궁항아(桂宮恒娥) 추월(秋月) 같이 번뜻 솟아서 비치고저.
막왕막래(莫往莫來) 맥혔으니 앵무서(鸚鵡書)를 내가 어이 보며,
전전반측(輾轉反側)의 잠 못 이루니 호접몽(胡蝶夢)을 어이 꿀 수 있나.
손가락의 피를 내여 사정(事情)으로 편지헐까. 간장의 썩은 눈물로 임의 화상(畵像)을 그려볼까.
이화일지 춘대우((梨花一枝春帶雨) 내 눈물을 뿌렸으면,
야우문령 단장성(夜雨聞鈴斷腸聲)의 빗소리 들어도 임의 생각.
녹수부용(綠水芙蓉)의 연(蓮)을 캐는 채련녀(採蓮女)7와
제롱망채엽(提籠忘採葉)의 뽕따는 여인네도 낭군 생각은 일반이라.
날보다는 좋은 팔자 옥문 밖을 못나가니 뽕을 따고 연 캐겄나.
내가 만일에 임을 못 보고 옥중 원귀 되겄구나, 항상 업드려 울음 운다.
※ 임방울 국창의 다른 녹음파일에는...
날보도다 좋은팔자 옥문 밖을 못나가니 뽕을 따고 연 캐겄나.
내가 만일에 임을 못 보고 옥중 원귀(寃鬼)가 되거드면,
무덤 근처 있난 돌은 망부석(望夫石)이 될 것이요,
무덤 앞에 섰난 남귀는 상사목(相思木)이 될 것이오.
생전사후(生前死後)의 이 원통을 알어 줄 이가 뉘 있드란 말이냐.
아무도 모르게 울음을 운다.
romanize Korean
보고지고 보고지고, 한양낭군(漢陽郎君) 보고지고.
오리정(五里亭) 정별후(情別後)로 일장서(一張書)를 내가 못 봤으니
부모봉양(父母奉養) 글공부에 겨를이 없어서 이러는가.
연이신혼(宴爾新婚) 금슬우지(琴瑟友之) 나를 잊고 이러는가.
계궁항아(桂宮恒娥) 추월(秋月) 같이 번뜻 솟아서 비치고저.
막왕막래(莫往莫來) 맥혔으니 앵무서(鸚鵡書)를 내가 어이 보며,
전전반측(輾轉反側)의 잠 못 이루니 호접몽(胡蝶夢)을 어이 꿀 수 있나.
손가락의 피를 내여 사정(事情)으로 편지헐까. 간장의 썩은 눈물로 임의 화상(畵像)을 그려볼까.
이화일지 춘대우((梨花一枝春帶雨) 내 눈물을 뿌렸으면,
야우문령 단장성(夜雨聞鈴斷腸聲)의 빗소리 들어도 임의 생각.
녹수부용(綠水芙蓉)의 연(蓮)을 캐는 채련녀(採蓮女)7와
제롱망채엽(提籠忘採葉)의 뽕따는 여인네도 낭군 생각은 일반이라.
날보다는 좋은 팔자 옥문 밖을 못나가니 뽕을 따고 연 캐겄나.
내가 만일에 임을 못 보고 옥중 원귀 되겄구나, 항상 업드려 울음 운다.
※ 임방울 국창의 다른 녹음파일에는...
날보도다 좋은팔자 옥문 밖을 못나가니 뽕을 따고 연 캐겄나.
내가 만일에 임을 못 보고 옥중 원귀(寃鬼)가 되거드면,
무덤 근처 있난 돌은 망부석(望夫石)이 될 것이요,
무덤 앞에 섰난 남귀는 상사목(相思木)이 될 것이오.
생전사후(生前死後)의 이 원통을 알어 줄 이가 뉘 있드란 말이냐.
아무도 모르게 울음을 운다.